본문 바로가기
유튜브1분요약-경제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 관세, 물가 올릴까 내릴까? 김광석 교수가 말하는 반전 시나리오

by 햅P 2025. 2. 5.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다시금 시작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글로벌 증시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고율 관세가 가져올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경기 둔화의 공포가 시장을 뒤덮고 있는데요. 하지만 김광석 교수는 “관세가 오르면 물가도 오른다”는 전통적 공식이 꼭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고 역설합니다. 그렇다면 왜 관세 인상이 오히려 물가 하락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일까요? 그리고 미국 vs. 중국 간 무역 패권 전쟁은 어디로 향하고, 투자자들은 어떤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프 관세 정책이 지닌 함의에 대해 김광석 교수의 흥미로운 분석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해당 영상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흐름을 짚어보겠습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이것만 보면 됩니다. 핵심요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동한 최대 25%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라 글로벌 경제 질서를 재편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관세 인상물가 상승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김광석 교수는 오히려 경기 둔화소비 위축으로 인해 물가 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트럼프 1기 당시 중국과의 관세 전쟁 후, 미국과 중국 모두 디플레이션 압력을 경험한 바 있죠.

이러한 무역 갈등의 이면에는 기술 패권·통화 패권이 얽혀 있어, 중국은 희토류 등 전략 자원을 무기화할 가능성이 있고, 미국은 캐나다·멕시코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려 합니다. 투자자들은 증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방어적 섹터에 주목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미국 제조업, 반도체, 희토류·희귀 금속새로운 기회를 찾는 전략이 바람직하다는 분석입니다. 결국, 트럼프 관세 전쟁은 전 세계 경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를 정확히 파악해 투자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

 

 


출처-삼프로tv

 

트럼프의 관세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대해 최대 25%라는 고율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무역 적자를 줄이고 미국 제조업을 보호한다는 목적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들의 생산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흔들며, 무역 파트너들 사이에 긴장을 조성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관세 부과가 문제가 될까요? 먼저, 수입 물가가 오르면 일반 소비자들이 부담을 느껴 소비 심리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기업들 역시 원자재부품 수입 비용이 늘어나 마진이 감소하거나 투자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죠. 다만, 김광석 교수는 “관세가 반드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통념과 배치되는 흥미로운 의견입니다. 관세 정책이 당장의 물가 상승을 초래하기보다는, 소비 침체와 경기 둔화를 일으켜 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불러온다는 고정관념, 정말 사실일까?

많은 사람들이 “관세가 오르면 물가가 뛴다”고 생각하지만, 김광석 교수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설명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트럼프 1기(2018~2020년)에 중국과 관세 전쟁을 벌였을 때, 미국 물가는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보다 소비 위축에 따른 디플레이션 압력이 더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죠.

 

관세가 높아지면 해당 품목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전체 경제에서 경기 둔화 현상이 촉진되면서 가격이 오히려 안정되거나 떨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관세 = 인플레이션이라는 공식이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소비 반응경기 흐름에 따라 정반대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결국 관세가 주는 충격은 ‘물가 상승’보다는 ‘경기 둔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정책 입안자나 투자자 모두가 인지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 – 관세가 가져올 경기 둔화 압력

관세가 높아지면,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증가하고 투자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생산 비용이 올라가거나 부품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는데, 이는 신규 투자를 꺼리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고용도 덩달아 줄어들면서 소비 심리 또한 악화될 수 있죠.

 

아이러니하게도, 물가 상승을 우려하기 쉽지만, 소비 둔화가 더 크게 작용하면 결과적으로 물가는 안정세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 수요가 줄어 가격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세 정책은 경기 둔화를 일으키고, 이는 오히려 물가 하락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단순히 “물가 올리는 나쁜 정책”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트럼프 vs. 중국 – 무역 패권 전쟁의 본질

트럼프가 일으킨 관세 전쟁은 사실 기술 패권통화 패권이 맞물린 글로벌 경제 질서의 재편 시도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중국은 희토류 같은 전략 자원을 무기화할 가능성이 있고, 미국은 이를 막기 위해 캐나다멕시코까지 포함해 우회 수출 통로를 봉쇄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관세율 몇 퍼센트를 조정하는 문제가 아니라,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 중심의 경제 체제를 강화하려는 포석이 깔려 있는 것이죠.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희토류 공급을 제한하면, 미국 반도체와 전자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트럼프는 이에 대응해 “미국 내 제조업 강화를 통한 탈중국화” 전략을 더욱 밀어붙일 공산이 큽니다. 결국, 이번 무역 전쟁은 관세라는 표면적 이슈 뒤에 숨은 기술 경쟁, 통화 경쟁, 공급망 경쟁이 얽힌 복합적인 갈등입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가 기존 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권 지형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의 일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김광석 교수는 이번 무역 전쟁과 관세 정책으로 인해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예견하면서도, “변동성 속에 기회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단기적으로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방어적인 섹터 위주의 투자 전략과, 현금을 일정 부분 확보하여 저점 매수 기회를 노리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제조업반도체 산업, 그리고 희토류·희귀 금속 분야에 대한 관심을 권고합니다. 만약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되어 희토류 공급 문제가 부상한다면, 해당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기업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생산을 촉진한다면, 미국 제조업과 관련된 기업들이 장기적 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트럼프의 정책 방향글로벌 공급망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투자 환경이 급변할 때에도 유연하고 철저한 대응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원본 영상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꼭 보시는거 추천합니다!

https://youtu.be/3GRfdgxs6nk?si=imbZlnSusNwZYEHY

 

 

 

 

함께 보기 좋은 글

2025.02.01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삼프로TV 1분 요약ㅣ한국 경제의 마지막 기회? 박석중 부서장의 경고와 미래 전략

 

삼프로TV 1분 요약ㅣ한국 경제의 마지막 기회? 박석중 부서장의 경고와 미래 전략

한국 경제가 대전환점에 도달했다는 경고가 곳곳에서 울리고 있습니다. 박석중 부서장은 “한국에 단 한 번의 기회만 남았다”고 주장하며,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어떤 전략을 취하느

hope-u-enjoyhappy-p.tistory.com

2025.01.27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삼프로TV 1분 요약ㅣ골디락스 경제 시대, 2025년 미국 증시가 움직인다

 

삼프로TV 1분 요약ㅣ골디락스 경제 시대, 2025년 미국 증시가 움직인다

2025년 미국 증시는 경제성장률과 물가 안정이 조화를 이루는 골디락스 경제 덕분에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의 친기업적 기조와 강력한 무역 정책이 시장에

hope-u-enjoyhappy-p.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