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증시가 또 한 번 흔들리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재점화되며, S&P500 지수가 단 며칠 만에 10% 넘게 폭락하는 충격파가 퍼졌죠. 이 상황 속에서 트럼프 정부는 “오히려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기회”라며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데요. 여기에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이 관세 전쟁의 속내를 꽤나 솔직하게 밝히면서, 시장은 더욱 혼란스럽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세 전쟁을 절대 포기하지 않는 트럼프 정부의 5가지 이유”를 중점으로, 최근 폭락장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을 정리해봅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이것만 보면 됩니다. 핵심 요약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은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닌, 미국 경제 체질을 완전히 바꾸려는 장기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부자들 자산 시장이 흔들려도, 서민 계층을 살리는 길”이라며 지지하지만, 시장은 이 정책이 기술 혁신을 늦추고, 금융 시스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죠. 공급망 재편 비용과 무역 파트너와의 갈등이 길어지면, 미국 IT·반도체·AI 등 핵심 산업 경쟁력이 훼손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에 해치펀드 마진콜과 금융 안전자산 급락 같은 시그널이 나타나, 이번 폭락이 단순 조정이 아닌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수도 있다는 경고도 흘러나옵니다.
다만, 역사적으로 극단적 공포 국면 뒤엔 기회가 찾아왔다는 투자 격언도 무시하기 어려운 사실입니다. S&P500이 단기 폭락했던 사례들을 되짚어보면, 이후 1년 내 대부분 반등했다는 통계가 있기 때문이죠. 결국 관세 전쟁과 시장 공포가 맞물린 이 시점에서, 투자자들에겐 또 한 번의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적용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역사적인 폭락 속 트럼프 정부의 입장
최근 미국 증시는 단 이틀 만에 S&P500 지수가 10% 이상 빠지는 극단적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과거 1987년 블랙 먼데이,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때나 볼 법한 폭락률이죠.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을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무역 불안 + 기업 실적 악화가 겹쳐지면서, 일종의 공포 매도(Panic Sell)가 일어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죠.
하지만 트럼프 정부 측은 “우리 정책 때문이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오히려 빅테크 중심의 M7(Meta·Microsoft·Amazon 등) 주가가 급락한 건, AI 주도권 상실에 대한 시장의 불안이 주요인이며, 관세는 부자들을 때려잡고 서민들을 보호하는 수단이라는 입장을 고수합니다. 사실 이 같은 해명에는 “단기 충격은 있더라도 미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겠다”는 강한 의지가 깔려 있습니다.
물론, 관세 전쟁이 실제로 중국 등 무역 파트너국에만 충격을 주는 게 아니라, 미국 내 기업들도 적잖은 피해를 입고 있다는 건 부정하기 어려운 현실이죠. 공급망 재편, 수입물가 상승, 기업 이익 감소 등이 겹쳐, 시장이 받는 타격이 예상보다 더 컸다는 분석입니다. 그럼에도 “끝까지 관세를 밀어붙이겠다”는 정부 태도를 보면, 이 정책이 단순한 무역 문제를 넘어 정치적·전략적 포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스콧 베센트 인터뷰: 관세는 부자 대신 서민을 위한 정책?
이번 영상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입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관세 전쟁을 두고 “미국 경제는 스테로이드를 맞은 보디빌더와 같다. 겉으로는 튼튼해 보이지만, 내부는 허약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비유는 현재 미국 경제가 과다한 부채와 무역적자에 시달리는 현실을 꼬집은 것이죠.
그렇다면 관세가 왜 서민을 위한 정책이 될까요? 베센트 장관의 설명을 요약하면:
- 감세 정책과 병행해, 관세로 부자들의 자산 시장에 충격을 주면 결과적으로 소득 재분배 효과가 있을 수 있음.
- 중국 같은 무역 상대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서, 관세 전쟁에서 더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는 판단.
- 부채의 덫에 빠진 서민층이 인플레이션을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론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유턴으로 근로자에게 이익이 돌아올 거라는 논리.
물론 시장의 반응은 다릅니다. 관세로 인해 수입물가 상승이 불가피하고, 감세 정책이 실제로 서민보다 부자들에게 더 혜택을 주고 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죠. 그럼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이 “장기 체질 개선” 프레임을 계속 밀고 있습니다. “부유층 자산 시장이 흔들려도, 서민 살리기엔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말이죠.
관세가 기술의 미래를 10년 늦춘다? 위기의 실체
하지만 관세 전쟁의 충격파는 무역적자나 물가 상승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위드부시 증권의 덴 아이브스는 “이런 고율 관세가 이어지면, 미국의 기술 산업이 10년간 뒤처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급망 재편 비용: 미국 기업들이 중국 등지에서 제조하던 부품 조달을 바꾸려면, 새 공장 건설이나 타국 공급망 구축에 막대한 자본이 투입됩니다. 이 돈이 R&D나 혁신 투자로 가지 못하게 되고, 기술 발전이 지연된다는 거죠.
- 인프라 비용 증가: 미국 내 제조를 늘리려면 노동비, 환경규제, 세금 문제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음. 기업 입장에선 “미국 정부가 보호해준다”는 믿음을 가지기 어려워, 투자를 주저할 수 있습니다.
- 중국과의 기술 협력 단절: AI나 반도체 분야는 이미 중국과 미국이 상호 의존적인 구조를 형성했는데, 관세 전쟁이 장기화되면 인재·기술 교류도 단절될 가능성이 큼. 이는 미래 혁신 속도를 크게 늦출 수 있습니다.
이처럼 관세가 단순히 무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미래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는 상황. “당장 눈앞의 문제를 해결하려다, 장기적으로는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관세 전쟁이 금융 위기로 번질 수 있는 이유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게 금융 시장이 받는 충격입니다. 이미 해치펀드들이 주식 담보 대출을 많이 활용해왔는데,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주가 폭락이 담보 가치를 급락시켜 마진콜을 유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이로 인해 해치펀드들은 금·채권 등 안전자산까지 팔아치우며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이는 오히려 안전자산 가격 급락이라는 역설적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2020년 코로나 쇼크 때도 본 적이 있는데, 결국 유동성 위기로 번지면 은행들의 대출 회수, 신용 경색을 가져올 수 있고, 그 충격파가 실물경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관세 때문에 시작된 통화·금융 시스템 불안정”이 결국 또 다른 금융위기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경고가 그래서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금융 시스템을 지탱할 방파제가 있다고 말하지만, 관세 전쟁이 계속되면 인플레이션 억제와 경기 침체 방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정책 딜레마가 심화될 것입니다.
공포는 기회다? 하락장 속 희망의 신호
그렇다면, 이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영상은 역사적 사례를 근거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공포 지수가 높아질수록, 그 이후 장기적 흐름에서 주가가 회복된 사례가 많았다는 겁니다. S&P500이 2~3일 만에 10% 넘게 급락했던 적은 몇 번 없지만, 그런 사건 후 1년 내 반등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물론, 과거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경고도 동시에 합니다. 하지만 “공포가 극에 달했을 때가 오히려 바닥 근접 구간”이라는 시장 격언은 유효하다는 거죠. 지금 당장 관세 전쟁의 결과가 어떻게 결판날지는 누구도 장담하기 어렵지만, 장기 투자자 관점에서는 “자산을 싼 값에 매수할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원본 영상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꼭 보시는거 추천합니다
https://youtu.be/OCnwH2gLlIo?si=4lu160C-oL2j5ygk
함께 보기 좋은 글
2025.04.02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스테이블하다는 거짓말 – 스테이블 코인이 만든 불안정한 경제 이야기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스테이블하다는 거짓말 – 스테이블 코인이 만든 불안정한 경제 이야기
가상자산 시장에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이제 익숙한 개념이 됐습니다. 이름처럼 가격이 안정적이라며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어내고 있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hope-u-enjoyhappy-p.tistory.com
2025.03.31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 3가지만 알면 증시 흔들림에도 투자 방향이 보인다!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 3가지만 알면 증시 흔들림에도 투자 방향이 보인다!
요즘 주식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트럼프의 대중 무역 관세 이야기가 나오자마자 글로벌 증시가 출렁거리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졌죠. 그런데 이
hope-u-enjoyhappy-p.tistory.com
'유튜브1분요약-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프로TV 1분 요약ㅣ미국 주식 지금 사도 될까? 김장열 본부장의 ‘진짜 전략 (17) | 2025.04.09 |
---|---|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왜 대공황은 일어났고, 우리는 또 같은 길을 가고 있는가? (19) | 2025.04.08 |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1분 요약ㅣ 세금 낭비 OUT! 일론 머스크가 밝힌 미국 연방 정부의 충격 실태 5가지 (22) | 2025.04.06 |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스테이블하다는 거짓말 – 스테이블 코인이 만든 불안정한 경제 이야기 (36) | 2025.04.03 |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 3가지만 알면 증시 흔들림에도 투자 방향이 보인다! (41)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