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튜브1분요약-경제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왜 대공황은 일어났고, 우리는 또 같은 길을 가고 있는가?

by 햅P 2025. 4. 8.

 

현재 전 세계가 무역 전쟁보호무역주의에 치달으면서, 국제 협력의 균열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펼치는 관세 정책을 두고, “혹시 100년 전 대공황 시대로 되돌아가는 게 아닌가”라는 우려까지 나올 정도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공황’이란 역사의 비극이 어떻게 시작되고 확산됐으며, 왜 이를 오늘날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지, 그 맥락과 교훈을 다섯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스무트-홀리 관세법, 금본위제, 그리고 국제 협력의 실패가 몰고 온 파국을 되돌아보며, 현대 무역 전쟁과 겹치는 위험 신호를 함께 살펴봅시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이것만 보면 됩니다. 핵심요약!

 

1929년 시작된 대공황은 단순 주가 폭락이 아니라, 금본위제라는 국제 통화 체제의 약점, 국가 간 공조 부재, 그리고 스무트-홀리 관세법으로 대표되는 극단적 보호무역 정책이 맞물려 온 세계로 확산된 총체적 위기였습니다. 각국이 자국 시장 보호를 우선시하며 관세 인상을 주고받은 결과, 세계 무역량은 급감했고, 대규모 실업장기 침체가 도래했죠. 이 경험이 2차 세계대전의 불길로 이어졌다는 해석도 있을 만큼, 대공황은 경제뿐 아니라 국제 정치 지형에도 치명적 상흔을 남겼습니다.
오늘날 트럼프 행정부가 펼치는 관세 전쟁은 대공황 당시와 많이 다르다 해도, 역사적 교훈을 떠올릴 만한 유사점들이 분명 존재합니다. 무역 파트너와의 협력 단절, 자국 우선주의, 세계 금융 리더십의 공백 등은 1930년대의 전조와 흡사한 부분이죠. 결국 “자국만 살겠다”는 보호무역정책이 장기화될 경우, 다시 한번 세계 경제가 치명적 침체로 빠질 위험이 도사린다는 점을 이 영상은 강력히 시사합니다.

 

 


언더스탠딩 유튜브

 

대공황의 시작과 확산: 단순한 경제위기 그 이상

1929년, 미국 월스트리트를 발원지로 주가가 폭락하며 시작된 대공황(Great Depression). 흔히 ‘최악의 경제위기’로 요약되지만, 이번 영상에서는 그 이면에 정치적·국제적 요인이 깊숙이 얽혀 있음을 강조합니다.


당시 미국 내 주식시장의 버블 붕괴가 도화선이 된 건 맞지만, 금융기관 연쇄 파산실물경제 마비빠른 속도로 전 세계로 확산된 건 단순한 투자 열기 진정으로만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금본위제(근본위제)라는 국제 통화 체제에서 한 나라의 경기침체각국 통화와 금융시스템을 줄줄이 붕괴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이 대목에서 눈여겨볼 건 국제 공조의 부재였다는 지적입니다. 당시 세계 경제 리더였던 영국은 이미 전쟁과 채무 부담으로 약화되었고, 새로운 패권국가로 떠오른 미국은 도리어 보호무역주의로 돌아섰습니다. 찰스 킨들버거가 말했듯, 불안정한 세계 경제를 이끌 ‘지도자 국가’가 부재했던 시기였다는 겁니다. 그 결과, 무역이 급속히 축소되고, 각국의 경쟁적 관세 인상이 이어지면서, 전 세계가 함께 깊은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었다는 설명입니다.

 

 

금본위제와 국제 무역 질서의 붕괴

당시 금본위제(금 1온스당 일정액의 화폐 발행)라는 체제는, 이론상 통화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각국의 정책 공조가 필수적이었다고 영상은 짚어냅니다.


예를 들어, 한 나라의 금융위기가 발생해 자본이 대거 유출되고 금 보유량이 떨어지면, 중앙은행은 금 교환 비율을 변경하거나, 은행 금리를 조절해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도 상황이 나쁘면 서로를 돕기보다는 자국 보호에 급급하게 되죠. 이 과정에서 금본위제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어버립니다.


영상에서는 이를 “지도력(leadership) 실패”로 설명합니다. 영국이 더 이상 그 역할을 맡기 어려웠고, 미국도 자국 우선주의에 빠져 국제 협력을 외면했습니다. 마치 다리 기둥이 약해져 서로 지지해주지 못한 채 모두가 무너지는 형국이었습니다. 이는 곧 무역 질서의 붕괴로 이어졌고, 나아가 전 세계 무역량이 급속도로 축소되면서, 기업들은 부도가 속출하고, 대량 실업이 발생하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무역 전쟁의 비극

1930년 미국의 ‘스무트-홀리 관세법’은 대공황을 더 악화시킨 대표적인 사례로 유명합니다. 평균 60%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부과돼, 사실상 수입품을 막는 수준이었다고 하죠. 놀라운 건, 이 법이 공화·민주 할 것 없이 상당히 많은 지지를 받은 상태에서 통과됐다는 사실입니다. 정치권대공황 앞에서 대중의 보호무역 요구에 부응했던 결과이기도 하죠.


문제는, 미국이 관세를 높이면, 다른 나라들도 보복 관세로 응수한다는 겁니다. 그야말로 무역전쟁(Trade War)이 벌어졌고, 세계 무역량이 29년 이전 수준으로 추락했습니다. 블록 경제 체제가 형성되면서, 국가 간 협력이 아닌 자급자족을 지향하는 흐름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경제 침체를 넘어서, 국제 정치에도 큰 파장을 불렀다고 영상은 분석합니다. 서로 손을 내밀기보다 문을 닫아거는 분위기 속에서, 극단적 민족주의파시즘이 자리 잡게 된 것이죠. 결국 2차 세계대전이라는 엄청난 비극으로까지 이어졌다는 해석입니다.

 

 

오늘날의 관세 전쟁, 트럼프 행정부와의 평행이론

영상을 관통하는 핵심 메시지는 바로 “역사는 반복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공황 시절과 똑같이, 오늘날트럼프 행정부가 보이는 보호무역 기조가 국제 협력을 약화시키고, 관세를 무기화하는 양상을 연출하고 있다는 것이죠.


특히 중국과의 무역전쟁이 가열되면서, 상호 관세 인상, 보복 조치가 잇달아 발표되는 모습은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연상됩니다. 단지, 그 규모가 훨씬 크고 디지털·서비스 분야까지 포함된다는 점에서, 충격파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물론 지금은 브레턴우즈 체제 이후 발전된 국제 금융 기구들이 존재하고, 글로벌 공급망이 훨씬 복잡하게 얽혀 있어 과거보다 완전히 단절되긴 어렵다”는 시각도 있지만, 영상은 미국의 ‘리더십’이 약해졌고, 중국과 EU 등 대안 리더가 확고하지 않은 현 상황이 1930년대와 오버랩된다고 지적합니다. 결국 다시 한 번 ‘무역전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그로 인해 전 세계 경제가 장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우려 포인트입니다.

 

 

 

대공황의 교훈과 우리가 지금 가져야 할 질문

영상은 결론적으로, 대공황이 단순한 경제 이벤트가 아니라, “국제 공조와 리더십 부재”가 불러온 총체적 위기였다고 분석합니다. 그 교훈은, 오직 자국만 살리려는 보호무역주의가 결국 다 같이 망하는 길로 이어질 수 있음을 다시금 보여준다는 거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정책이 과연 단기 협상 카드로 그칠지, 아니면 정말 세계 무역 질서를 뒤흔들 비극적 시나리오로 번질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역사의 교훈은 분명하다는 것이 메시지입니다. “과거 대공황을 일으킨 무역전쟁과 국제 협력 실패를 지금도 여전히 반복하고 있는 건 아닌지”—이 질문이 바로 우리가 가져야 할 핵심 화두라는 결론입니다.

 

 


원본 영상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꼭 보시는거 추천합니다

https://youtu.be/MDhDUOPcUAQ?si=jiln4WY587rk52Qx

 

 

 

함께 보기 좋은 글

2025.03.18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트럼프 관세, 미국 살릴 묘수인가? 한국은 어떻게 대비해야?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트럼프 관세, 미국 살릴 묘수인가? 한국은 어떻게 대비해야?

트럼프가 다시 정권을 잡으면 관세 전쟁이 재현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미국·중국·한국 등 주요 무역 파트너들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보호무역 기치를 내걸었던 트럼프 전 대통

hope-u-enjoyhappy-p.tistory.com

2025.03.15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비트코인·미국 주식, 조정 끝? 트럼프·연준 변수에 달렸다!

 

언더스탠딩 1분 요약ㅣ비트코인·미국 주식, 조정 끝? 트럼프·연준 변수에 달렸다!

미국 주식과 비트코인이 최근 조정을 보이자, “황소장이 끝났나?”라는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부 전문가는 “단기 하락일 뿐, 주요 모멘텀은 여전하다”고 말하는데요. 이번 포

hope-u-enjoyhappy-p.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