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튜브1분요약-경제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1분 요약ㅣ 세금 낭비 OUT! 일론 머스크가 밝힌 미국 연방 정부의 충격 실태 5가지

by 햅P 2025. 4. 6.

 

“미국 정부가 정말 IT 강국다운 행정을 펼치고 있을까?” –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도지(DOGE)’ 팀은 바로 이 질문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고령 연금 수급자가 150세 이상? 펜실베니아 석회석 광산에서 연금 서류를 꺼낸다? 언뜻 만우절 농담 같은 이야기들이 실제로 미국 연방 정부의 관료주의와 공공 시스템 속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머스크가 폭로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도지팀이 발견한 미국 정부의 충격적 비효율과 세금 낭비 실태 5가지”를 핵심 포인트로 정리해봅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이것만 보면 됩니다. 핵심요약

 

일론 머스크의 ‘도지팀’이 밝힌 미국 연방 정부의 실태는 충격적입니다. 150세 이상 가짜 연금 수급자가 수백만 명, 연방 공무원 연금 계산이 석회석 광산에서 이뤄지는 구닥다리 방식, 부처마다 수백 개씩 따로 돌리는 IT 시스템 등, IT 강국으로 알려진 미국에 디지털 후진국의 면모가 여실히 드러났죠. 그 결과 매년 2조 달러에 이르는 적자가 쌓이고, 납세자들이 천문학적 세금 낭비를 떠안고 있습니다.
도지팀은 이미 1,400억 달러에 달하는 낭비 요소를 제거하면서, 납세자 부담을 크게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죠. 석회석 광산 연금 서류 디지털화, 코볼 시스템 개편, 700개 넘는 IT 시스템 통합 등은 모두 관료주의와 예산 정치가 얽혀 있는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민간 주도의 공공혁신 시도가 성과를 낸다면,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 정부에도 거대한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영상은 전망합니다.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일론 머스크의 도지팀, 정부를 뜯어고치다

일론 머스크 하면 떠오르는 건 대개 테슬라, 스페이스X, 그리고 SNS 활동일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머스크는 ‘도지(DOGE)’라는 정부 효율성 팀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영상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지 코인’과는 무관한, Government Overhaul(정부 혁신)을 목표로 하는 그룹이죠.

 

이 팀이 겨냥한 건 다름 아닌 미국 연방 정부의 어마어마한 세금 낭비 문제입니다. 현재 미국은 매년 2조 달러(한화 약 2,700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보고 있고, 그중 절반인 1조 달러를 절감하는 것이 도지팀의 핵심 목표라고 해요. 놀라운 건, 이미 1,400억 달러에 달하는 낭비 요소를 제거해 성과를 냈다는 것입니다. “납세자 1인당 870달러씩 부담을 덜어준 셈”이라는 설명은, 이 프로젝트가 단순 감사 수준이 아니라 실질적인 비용 절감을 이끌어냈다는 것을 보여주죠.

 

도지팀이 어떤 식으로 정부의 비효율을 찾아내고 고치고 있는지는 영상에서 상세히 다루어집니다. “정부 부처 사이 ‘데이터 공유’는커녕, 공문 하나 보내기도 어려운 관료주의”, “진즉에 사라졌어야 할 구닥다리 시스템” 등을 들춰내며, 이른바 ‘천문학적 세금’이 어떻게 ‘구멍’으로 빠져나가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하는데요. “미국 정부의 낡은 시스템이 이렇게 심각했나?” 싶을 정도로 충격적인 사례가 속속 공개됩니다.

 

 

 

150세 이상도 연금 수령? 충격적인 시스템 오류

가장 이목을 끄는 이야기 중 하나가 “미국 연금 시스템에 120세 이상 수백만 명의 수급자가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서류상 159세 수급자까지 있다는 건 황당무계해 보이지만, 사실상 낡은 코볼(COBOL) 시스템이 초래한 서류 오류라고 해요. 1970년대 만들어진 이 메인프레임 프로그램에서 생년월일이 비어있으면 ‘1875년 5월’로 자동 입력되는 바람에, 가짜 고령자들이 계속해서 연금을 받아가고 있다는 겁니다.

 

말이 안 된다고요? 도지팀의 조사 결과, 이 문제로 인한 잠재적 낭비가 무려 수천억 달러(한화 수백조 원)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생존자를 가려내려면, 중복 체크행정 절차가 뒤따라야 하는데, 그 역시 각 주(州)마다 규칙이 달라서 일원화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거죠. “에이, 나라가 다 해주겠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현실은 연방 정부 차원에서 제대로 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갖추지 못했다는 충격적 사실. IT 강국으로 여겨지는 미국이 ‘종이서류 + 구식 메인프레임’으로 돌아간다는 게 믿기지 않습니다.

 

 

미국 연방공무원 퇴직 연금, 아직도 ‘석회석 광산’에서 계산 중?!

더 어이없는 사례는 연방 공무원의 퇴직연금 계산이 ‘석회석 광산’에 보관된 서류로 이뤄진다는 사실입니다. 펜실베니아에 위치한 구(舊) 광산 내부에는 22,000개의 철제 캐비닛이 빼곡히 들어서 있으며, 이곳에 공무원들의 연금 관련 문서가 저장되어 있다는군요.


퇴직자가 발생하면 광산 깊숙이 들어가 필요한 서류를 꺼낸 뒤, 해당 부처에 팩스나 전화로 확인을 요청한다고 합니다. 계산도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진다니, 21세기 미국 정부라고는 믿기 어려운 업무 방식이죠.

 

이 시스템 때문에 퇴직자가 재입사하거나 근무 이력이 복잡한 경우면, 연금 계산에 몇 주 이상 걸리는 일이 다반사라고 합니다. IT 강국이라더니, 정작 공무원 연금은 광산에서 서류를 찾아 일일이 손으로 계산한다는 이야기… 도지팀은 이걸 “석회석 광산 연금 계산” 사례로 꼽으며, 정부 디지털화가 얼마나 시급한지를 역설합니다.

 

 

 

700개가 넘는 각자도생 IT 시스템, 디지털 후진국의 민낯

국립보건원(NIH) 하나만 해도 700개 넘는 IT 시스템을 따로 운영한다고 하니, 부처 전체를 합치면 그 수가 얼마나 더 많을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곧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 호환이 거의 없다는 뜻이고, 공유가 안 되니 중복 업무는 필연적입니다.


도지팀은 “연방 정부에 공무원 전체를 일괄 메일 발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거나, “국세청 직원 1,400명이 노트북 초기 설정 업무만 한다”는 식의 예시를 들며, 미국 정부가 생각 외로 디지털 문맹 상태라고 지적합니다. 정작 민간기업들은 이메일, 그룹웨어 등으로 효율적으로 협업하는데, 공공 영역은 수십 년 전 방식을 여전히 고수한다는 것이죠.

 

더 황당한 건 연방정부 발급 신용카드만 460만 장에 이르고, 공무원 수보다 카드 수가 더 많다고 합니다. 이 카드들이 제대로 관리되는지도 의문이고, (예: 120세 이상 수급자가 카드를 받았다거나, 11세 사업가가 중소기업 대출을 받았다는 황당 사례도 나온다고 하죠). 이는 결국 낡은 데이터베이스와 산재된 시스템이 만든 혼돈의 결과물이라는 겁니다.

 

 

도지팀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도지팀이 공공에 문제점을 알리고 개선책을 제안한 뒤, 실제로 미국 정부가 몇 가지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석회석 광산에 쌓여 있던 연금 서류를 디지털 스캔으로 전환하기 시작했고, 150세 이상 수급자를 정리하기 위한 국회 보고서도 작성됐다고 해요. 700개 이상 분산된 IT 시스템을 통합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고, 관료주의 저항도 만만치 않겠지만, 이 같은 변화 시도 자체가 큰 의미라는 게 영상의 결론입니다.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도지팀은 단순히 “정부를 감시한다” 수준이 아니라, 직접 문제 해결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끕니다. 이미 1,400억 달러의 예산 낭비를 막아냈으니, 그 성과가 더 커지면 미국 납세자들에게 엄청난 혜택이 돌아갈 테죠. 물론 미국식 정치 구조상, 부처 간 이익 다툼이나 의회 예산 심의 과정 등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민간 주도의 혁신 움직임전 세계 공공영역 혁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영상은 강조합니다.

 

 


원본영상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꼭 보시는거 추천합니다

https://youtu.be/hwLAV6tqlqw?si=pWFzua0q9vwycdBh

 

 

 

함께 보기 좋은 글

2025.03.31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 3가지만 알면 증시 흔들림에도 투자 방향이 보인다!

 

삼프로TV 1분 요약ㅣ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 3가지만 알면 증시 흔들림에도 투자 방향이 보인다!

요즘 주식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트럼프의 대중 무역 관세 이야기가 나오자마자 글로벌 증시가 출렁거리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졌죠. 그런데 이

hope-u-enjoyhappy-p.tistory.com

2025.03.30 - [유튜브1분요약-경제] -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1분 요약ㅣ한국이 미국 시장에서 일본에 밀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해야 할 ‘이것’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1분 요약ㅣ한국이 미국 시장에서 일본에 밀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전 세계가 미국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배제하는 통상·산업 정책을 내세우면서, 동시에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칩스법 등을 통해 자국 내 제조업을 육성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

hope-u-enjoyhappy-p.tistory.com

 

728x90